
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코호트 분석을 이미 하고 계실 건데 측정 기준에 대해서 의문이 생기신 분이 보실 것 같네요 구글에 '코호트 분석 SQL' 라고 검색하면 정말 많은 글들이 많습니다. 글에서 소개하는 쿼리 예시는 대부분 datediff함수를 활용해서 Date Granularity를 계산합니다.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 유저 1 : 23:30 에 회원가입 후 다음날 다시 들어왔습니다. 유저 2 : 13:30에 회원가입 후 다음날 다시 들어왔습니다. day 단위로 계산을 하면 유저 1 은 우리 서비스를 30분 경험하고 다음날 재방문했다고 계산됩니다. 유저 2는 약 10시간 30분 서비스를 경험하고 재방문을 했다고 계산됩니다. 동일한 조건일까요? 그렇지 않죠? 만일 시간 단위로 계산을 하..
모바일 마케팅
2024. 8. 1. 16:19
최근에 올라온 글